투자와 자유

반응형

제가 개인적으로 운용 중인 자산배분전략을 소개합니다.

 

올웨더나 영구 포트폴리오와 같은 유명한 자산배분 전략의 안정성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어느정도 잘 받아들여진 상황인 것 같습니다.

 

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아래의 사유들로 인해 변형된 자산배분 전략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변형된 자산배분의 필요성

 

1. 초장기 투자만을 바라볼 수 없다.

 

우리는 노동을 통해 시드머니를 마련하여 투자 자산에 투입해나갑니다. 하지만, 우리의 노동이 계속될 수 있을까요?

발전해나가는 기술로 인해 인간 노동의 필요성이 저하되어 갈텐데, 10년 후에는 지금보다 고용환경이 더욱 불안해지지 않을까요?

기본소득제 및 기계세 등의 도입으로 소득 개념의 전환이 이루어지진 않을까요?

 

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자신의 체감 퇴직연령이 평균 49.7세라고 합니다.( 기사 링크 )

 

[사진] [그래픽뉴스] 100세 시대, 직장인 체감 퇴직연령은?…'평균 49.7세' -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이은현 디자이너 = 11일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직장인 530명을 대상으로 '체감 정년과 노후준비 현황'을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평균이 49.7세로 집계...

news.mt.co.kr

공무원이나 전문직이 아니라면, 우리는 앞으로 얼마나 더 일할 수 있을까요?

 

30세 취업 50세 퇴직. 아니면 그보다 더 짧은 근로기간을 가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길게보아 20년, 짧게는 10년 안에 지속가능한 소득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40년 복리의 마법? 물론, 은퇴 뒤에도 투자는 계속되겠지만, 우리는 그렇게 여유롭게 상황을 살필 수 만은 없습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저는 좀더 공격적인 전략을 택하였고, 금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금에 대하여, 링크)

 

2. 미중분쟁의 격화 및 패권국 변동의 가능성

 

미중 간의 파워게임이 어떻게 흘러갈지, 누가 승리할지는 누구도 정확히 예측하기 힘듭니다.

미국이 결국 다시 패권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도 있고, 중국이 승리할 수도 있습니다. 기축통화의 지위가 위안화로 넘어갈 수도 있구요.

정말 있어서는 안될 일이지만 실제 전쟁이 발발하여 국제정세가 급변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주식 자산을 미/중/한국 이렇게 3국에 분산투자하였습니다.

어느 쪽이 승리하든 충격을 분산하고자 함입니다.

중국 투자금은 한국 상장 etf를 주로 활용하여, 리스크를 좀더 확실히 분산하고자 하였습니다.

 

3. 제로금리로 인한 채권 투자에 대한 의문점

 

경제부양을 위해 미국이 제로금리 상황에 도달하였고, 이런 상황에서는 채권 상승에 캡이 걸리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의견에 대해서는 별도로 다루어보겠지만(링크), 채권 비중을 다소 축소하였습니다.

 

4. 금을 대체하는 역할이 기대되는 비트코인(암호화폐)에 소량 투자

 

배아픔 방지 및 금 대체 수단으로서 비트코인(암호화폐)에 소량 투자합니다.

 

변형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1. 국내 주식 30%

2. 미국 주식 30%

3. 중국 주식 15%

4. 미국 채권 20%

5. 암호화폐 5%

 

항목별 투자 내역

1. 국내 주식 30%

-TIGER K TOP 10 10%

-젠포트 알고리즘 매매 20% (알고리즘 전략 연구)

 

2. 미국 주식 30%

-ARK (K, W, G 동일비중 분산) 10%

-QQQ 10%

-XLP 10%

 

3. 중국 주식 15%

-TIGER 항셍테크 5%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3%

-TIGER 차이나바이오테크 SOLACTIVE 3%

-CQQQ(미국 상장) 4%

 

4. 미국 채권 20%

-NOVELL의 채권 투자전략(소개 링크)

 

5. 암호화폐 5%

-헤이비트 3%

-비트코인 2%

 

 

 

다음 포스팅들에서 자산들에 대하여 순서대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